프로젝트명 | 우리는 한국 전통 알림이 | 프로젝트 기간 | 2022. 12. 5. (월) ~ 2022. 12. 16. (금) | 핵심 미래역량 | 의사소통역량, 심미적 감성 역량, 지식정보처리 역량 | 기획의도 (주제 선정 배경) | 함께 걸음 프로젝트에서 ‘전통 놀이, 전통 의상, 전래동요, 전통 음식, 전통 그릇, 전통 가옥, 전통 문양’을 배운다. 우리나라의 다양한 전통문화와 우리나라를 나타내는 것을 살펴보고, 우리나라에도 아름다운 전통이 있음을 느끼고자 이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. |
차시 | 단계 | 주요 활동 | 교과 | 1차시 | 설명하는 대상 찾기 | ○ 글과 그림을 보고 설명하는 대상 찾기 | 국어 | 2차시 | 3차시 | 아름다운 우리나라 | ○ ‘1. 여기는 우리나라’에서 무슨 활동을 하는지 살펴보기 이 단원에서 배우고 싶은 것을 얘기해보기 (학생 참여) 단원 도입 초성 찾기 및 빙고 놀이 단원 공부게시판 만들기 | 통합교과 | 4차시 | 5차시 | 전통 놀이 배우기 | ○ 땅따먹기, 술래잡기, 사방치기 등 전통놀이를 한 경험 이야기하기 ○ 우리나라 전통 놀이 초성 퀴즈를 풀고 종류 사방치기 하는 방법 배우기 ○ 우리나라 전통 놀이(사방치기, 숨바꼭질, 실내 땅따먹기 등)즐기기 ○ 전통 놀이 부모님께 설명해드리기 (가정 연계) | 통합교과 | 6차시 | 7차시 | 누가 무엇을 했는지 생각하며 글을 읽기 | ○ 누가 무엇을 했는지 생각하며 글 읽기 | 국어 | 8차시 | 9차시 | 전통 의상 배우기 | ○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의상 한복에 대해 알아보기, 각각의 명칭 알기 ○ 색의 아름다움을 활용하여 한복 색칠하기 ○ 둥근 색종이로 한복 만들기 | 통합교과 | 10차시 | 11차시 | 일어난 일을 생각하며 글 읽기 | ○ 일어난 일을 생각하며 글 읽기 | 국어 | 12차시 | 13차시 | 전래 동요 배우기 | ○ ‘남생아 놀아라’ 불러보기 ○ 가사를 바꾸어 ‘남생아 놀아라’ 놀이하기 ○ 동영상으로 남생이 관찰하고 색칠하기 | 통합교과 | 14차시 | 15차시 | 내용에 알맞게 제목 붙이기 | ○ 내용에 알맞은 제목 붙이기 | 국어 | 16차시 | 17차시 | 전통 음식 배우기 | ○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 이야기하기 ○ 전통 음식 알아보기 ○ 전통 음식의 일부분 보고 어떤 음식인지 알아맞히기 ○ 자신이 소개하고 싶은 전통 음식 소개 자료 만들기 (학생 참여 및 주도) ○ 우리나라 전통 음식송 부르기 ○ 우리나라 전통 음식 김치에 대해 알아보기 | 통합교과 | 18차시 | 19차시 | 20차시 | 내용을 확인하며 글 읽기 | ○ 내용을 확인하며 글 읽기 | 국어 | 21차시 | 22차시 | 전통 그릇 배우기 | ○ 도자기를 본 경험 이야기하기 ○ 전통 그릇을 만드는 방법 배우기 ○ 지점토로 도자기 만들기 | 통합교과 | 23차시 | 24차시 | 전통 가옥 배우기 | ○ 조상들이 살던 집과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을 비교하기 ○ 조상들이 살던 집의 우수성 알아보기 | 통합교과 | 25차시 | 26차시 | 전통 문양 배우기 | ○ 전통 문양에 대해 이야기하기 ○ 전통 문양 꾸미기 | 통합교과 | 27차시 | 28차시 |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전통 소개 자료 만들기 | ○ 1학년 프로젝트 산출물 전시회 열기 - 1년 동안의 프로젝트를 돌아보고, 산출물 분류하기 - 친구들과 함께 걸음 프로젝트 수업 나눔의 날(12월 15일) 산출물 5층 전시회장 꾸미기 - 프로젝트 산출물 전시회 감상 후 소감 나누기 및 피드백 반영하기 - 학부모와 프로젝트 산출물 공유 및 나누기 (가정 및 지역 연계) ○ 한국 전통 소개 자료를 학급 홈페이지(하이클래스)에 탑재해 학부모 피드백 받기 (학생 주도 및 가정 연계) | 창체 | 29차시 | 30차시 | 학습내용 정리하기 | ○ 배운 내용 중 기억에 남는 것을 그리고 자신이 성장한 정도를 나타내기 | 창체 | 31차시 |
|